1> 신체 및 운동 기능의
발달
2 > 정서발달
- 특징
- 신체적인 발달과 변화는 계속적이고, 순차적이며, 분화적이다.
- 출생 후부터 유아기에 이르는 단계에서 신체발달속도가 가장 빠르며 다음으로는 사춘기, 즉 청년전기에서 가장 빠르다.
- 아동기와 청년기에서 점진 증가를보인다. 청년 후기말에 이르러 정지되는 상태이다.
- 신체 각 기관의 발달은 일률적으로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체중이 발달하는 충실기와 신장이 발달하는 신장기가 주기적으로 율동성을 갖고 발달한다.
- 성과 개인차에 따라 발달을 달리한다. 여자는 신장에 있어서는 9세~14세 사이, 체중에 있어서는 10세~16세 사이에 남자보다 앞선다. 그외 시기에는 남자가 이란적으로 앞선다.
- 신생아는 불균형하게 태어나지만 점차 성장함에 따라 신체의 각 부분이
균형적으로 발달한다. 즉, 태아기에는 머리길이가 신체길이의 1/2, 신생아기에는 1/4, 성인이 되면 1/8이 되어 균형잡힌 성장을
이룬다.
- 신체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
- 유전 : 신체, 체격 또는 체중, 모발, 피부, 안구의 색, 혈액형, 색맹, 혈우병, 지능 등
- 환경 : 음식물에 의한 영양 섭취, 운동, 휴식과 수면
등
- 신체 운동의 발달과 교육과의 관계
- 개인차의 인정 : 신체적 발달에는 심한 개인차가 언제나 따르므로 교육적인 면에서 고려되어야 한다.
- 준비도 : 신체적 성숙은 학습과 중대한 관련을 갖는다.
- 인성발달에 영향 : 신체적 차이는 인성발달에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친다.
- 생리적 장애유발 : 적응상의 문제가 생리적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.
2 > 정서발달
- 개념
- 정서는 희노애락의 급격한 감정의 상태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동요되고 흥분될 때 경험하는 심리적 상태이다.
- 정서는 움직이고 뒤흔들려서 일어나는 하나의 포괄적인 상태이다.
- 정서는 어떤 것에 대해서 일어나는 감정이며, 충동은 어떤 것을 하려고 하는 의욕이다.
- 유사개념
- 정서(emotion) : 적응하려는 태세가 강렬하고 심한 교란을 나타낸다.
- 감정(feeling) : 온화하고 온정적으로 나타난다.
- 기분(mood) : 가정상태가 장기간 계속되는 현상이다.
- 정조(sentiment) : 지적 작용이 수반되는 조용한
가치감정이다.
- 정서발달에 관한 연구
- 왓슨(J.B.Watson) : 3가지 기본정서로 공포, 분노, 애정 등을 들었다.
- 공포반응은 첫째로 갑자기 유아를 이동시켰을 때, 둘째, 큰 소리를 질렀을 때, 셋째 막 잠이 들려고 하거나 깰려고 할 무렵 건드렸을 때, 넷째, 막 잠이 들려고 할 무렵 갑자기 이불을 걷어올렸을 때 나타난다. 보통 놀라는 표정이나 행동으로 나타나며 입술이 파래지며 흔히는 울게된다.
- 분노반응은 자유로운 행동을 제지당하고 방해당했을 때 나타나는 반응으로 이때 어린이는 손, 팔, 다리 등을 아주 격심하게 움직이며 입을 벌리거나 처음에는 소리내어 울지를 못한다.
- 애정 반응은 역시 조용히 만져주거나 얼러 주엇을 때 나타나는 반응으로 미소를 띠거나 큰
소리로 웃으며 팔과 다리를 움직인다.
- 브리지스(K.M.Bridges)의 연구 : 생후 2년간 정서반응과 분화를 관찰하여
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.
- 초기의 정서 : 흥분(울음)
- 생후 3개월 : 쾌, 불쾌로 분화
- 생후 6개월 : 불쾌에서 분노, 혐오, 공포가 분화
- 생후 10~12개월 : 쾌에서 애정, 기쁨 분화
- 생후 5년 : 성인과 같은 대부분의 정서가
나타남
- 왓슨(J.B.Watson) : 3가지 기본정서로 공포, 분노, 애정 등을 들었다.
- 정서발달 요인
- 성숙 : 정서발달을 규정하는 선천적인 조건이다.
- 모방 : 주위 사람들로부터 얻게 되는 학습의 결과이다.
- 조건화 : 어떤 대상에 대한 조건 여하에 따라 정서적인 반응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.
[교육심리학] ch.3-2 인간 발달과 교육 (성격발달, 사회성 발달)
|
[교육심리학] ch.3-4 인간 발달과 교육 (정의적 발달)
|
출처 : ♡스위스쮜리히대학원♡
글쓴이 : 친절맨 원글보기
메모 :