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반글

등산화착용요령

아련이 2007. 1. 2. 14:01
등산화! 어떤 것이 좋은 것인가요?
1. 내 발에 편한 것이라야 합니다.
어떤 것이 편한 것인가요? - 두툼한 모직 양말을 하나 신고 등산화를 신은 상태에서 발이 0.5cm 정도 움직일 수 있다면 적당하다고 봅니다.
딱딱한 창에 가죽갑피를 한 등산화라면 양말을 모직양말 말고 면양말 하나 정도를 더 신어야 합니다. 더운데 무슨 모직양말을 신어야 하는가? 하며 웃는 사람은 돌이 많고 등산화 앞뒤로 체중이 쏠리는 산길에서 발바닥이 점점 덴것처럼 뜨거워 지다가 물집이 생기는 현상을 못 겪어 본 사람일 것입니다.

2. 양말을 신고 끈을 꼭 졸라 맸을 때 끈이 발등부위를 눌러도 아프지 않아야 합니다. 왜 꼭 졸라 매야 할까요? - 내리막길에서는 끈을 꼭 매지 않으면 발이 앞으로 쏠리다가 앞창과 발톱이 부딪히게 되고 통증이 시작됩니다. 그래도 억지로 걸으면 결국 발톱이 빠지는 경우도 있습니다.

3. 트래킹용 이라면 창은 적당히 딱딱해야 합니다. 산길에 흙만 있다면 좋겠지만 돌길이 더 많다 보니 뾰족한 돌이 발바닥을 자극합니다. 10-20분 정도가 아니고 몇 시간씩 돌길을 가려면 발바닥이 아프지 않아야 합니다. 또 산에는 낫으로 쳐낸 나무들이 마치 죽창처럼 위를 향해 솟아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. 이런 때 창이 부드러운 재질이라면 나무가 창을 뚫고 발바닥을 찌르겠지요.

4. 이런 나무는 바닥뿐 아니라 발목. 발뒤꿈치를 찌를 수도 있습니다. 또 피곤해지면 발목에 힘이 빠져서 삐끗하는 경우도 있지요 그래서 등산화는 발목이 어느 정도 보호될 수 있는 것 이라야 합니다.

5. 등산은 눈 쌓인 겨울에도 할 수 있습니다. 겨울에는 산행을 하지 않는 것으로 아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습니다만 그렇지 않습니다. 다만 겨울 산행을 생각한다면 보온과 방수가 필수입니다. 또 아이젠을 착용할 수 있어야 하겠지요. - 아이젠을 착용하려면 역시 바닥창이 어느정도 딱딱해야 하고 아이젠 끈이 신을 눌러도 불편이 없어야 합니다.
(보행용 2-4발 아이젠을 말하는 것임 - 12발 빙벽용 아이젠은 이런 등산화에 착용불가)

6. 보통 등산화를 만드는 분들은 이런 조건을 구비하여 만들었을 것입니다.
거기다 바느질이 2중으로 견고하고 창 붙임이 튼튼하면 더 좋고, 창이 다 닳았을 때 창만 교환 할 수 있다면 더 좋습니다.

7. 착용감도 가벼워야 좋겠지요. 그러나 가벼운 것일수록 가격은 비싸진다는 점을 참고하세요.
A/S가 잘 되는지도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. 이왕이면 다홍치마라고 색상도 예쁘면 더할나위 없이 좋겠죠?

* 방수에 대하여 너무 간단히 언급했는데 방수가 잘되는데 값이 싼 등산화는 없는 것 같습니다.
그만치 방수는 어렵고도 중요합니다. 신이 젖으면 발이 퉁퉁 불지요 - 그러다가 터지고, 겨울에는 얼은 신발은 부러지고 발은 동상에 걸리고요.

'일반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혈액형별 음식궁합  (0) 2007.03.13
피로회복의 다섯가지 비법  (0) 2007.01.06
화장품의 수명과올바른 사용방법  (0) 2007.01.02
옛날에는 키스를 뭐라 했을 까  (0) 2006.12.20
함께 먹으면 안되는음식  (0) 2006.11.28